1) 폐쇄형 혹은 개방형 치근활택술
- 좌측: 6mm의 골내낭,치금면이 치태와 치석에 의해 덮어져 있다.
- 중앙 : 폐쇄형 혹은 개방형(외과적 판막 거상) 이던 큐렛, 음과 혹은 초음파기구를 사용하여 치근면을 철저히 청소하였다.
- 우측 : 치주낭의 가장 깊은 부위에 약간의 신생골 형성이 일어났다.
1) 치은염
치주질환의 가장 약한 형태입니다. 치은염이 있으면 잇몸이 붉어지고, 붓고, 피나기 쉽습니다. 이 상태에는 불편감은 아주 약간 있거나 없습니다. 치은염은 전문적인 치료와 좋은 구강 위생관리로 건강하게 돌아갈 수 있는 가역적인 상태입니다.
2) 진행성 치주염
다른 면에서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치주염의 형태입니다. 일반적이니 양성은 빠른 부착 상실과 골 파괴, 가족력이 있습니다.
3) 만성치주염
치아 지지 조직의 염증, 점진적인 부착과 골 상실을 일으키는 치주질환의 형태로, 치주낭의 형성이나 치은의 퇴축으로 특징지어 집니다. 성인에서 흔하지만 어떤 연령대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치주염의 형태입니다. 부착 상실의 진행은 보통천천히 일어나지만 특정 시기에는 질환의 진행이 급속히 일어나기도 합니다.
4) 전신질환과 관계된 치주염
치주염은 당뇨와 같은 여러 전신 질환과 관계되어 있습니다.
5) 괴사성 치주염
치은조직, 치주인대, 치조골의 괴사로 특징지어지는 감염입니다. 이러한 병변은 HIV감염, 불량한 영양, 면역약화 등의 전신 상태를 가진 환자에게서 흔이 관찰됩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런 상태에서만 제한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1) 폐쇄형 혹은 개방형 치근활택술
- 좌측: 6mm의 골내낭,치금면이 치태와 치석에 의해 덮어져 있다.
- 중앙 : 폐쇄형 혹은 개방형(외과적 판막 거상) 이던 큐렛, 음과 혹은 초음파기구를 사용하여 치근면을 철저히 청소하였다.
- 우측 : 치주낭의 가장 깊은 부위에 약간의 신생골 형성이 일어났다.
2) 조직유도재생술(GTR)-외과적
- 좌측 : 8mm의 골내낭 중앙: 판막을 거상하고 치근면을 활택한 후 결손부위를 차폐막을 이용하여 덮었다. 이는 긴 접합상피의 형태로 수복되는 것을 막아준다. 골성분화구는 자가골이나 인공골 대체물로 채워넣는다.
- 우측:모든 치주조직의 향샹된 재생이 일어난다.
3) 근처치 수술과정(radical surgical procedure)
- 좌측 : 7 ~ 8mm골내낭
- 중앙 : 골내낭이 골성형술이나 실질적인 골절제술의 방법으로 제거된다.
- 우측 : 낭이 제거되었다 : 노출된 치경부는 건강한 치은 바로위에 남아있다
4) 치과임플란트
심한 부착소실로 인해 광범위한 치료를 하더라도 성공적인 치료가 의문시 된다. 이런 증례는 특히 심한 치근이개부 병변을 가진 구치에서 임플란트 치료를 고려해야한다.
- 중앙: 발치 우측 : 임플란트가 점막에 의해 덮여있다. 차폐막 아래로 골재생이 일어난다.